러시아 경제동향 (2009.1분기, 1~3월) |
1. 경제성장
(단위 : %, 천명)
구 분 (전년동기 대비) |
‘05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8.1분기 |
‘09.1분기 |
GDP 성장률 |
6.4 |
7.4 |
8.1 |
5.6 |
8.7 |
-9.5 |
산업생산 성장률 |
4.0 |
3.9 |
6.3 |
2.1 |
6.2 |
-14.3 |
고정자본투자 증가율 |
10.7 |
13.5 |
21.1 |
9.8 |
23.6 |
-15.0 |
소매거래량 증가율 (식료품) |
12.8 (10.8) |
13.0 (10.2) |
15.2 (12.3) |
13.0 (8.0) |
17.2 (11.9) |
-1.1 (-1.6) |
실업률(기말) 실업자수 |
7.7 5,660 |
6.9 5,149 |
6.1 4,600 |
7.7 5,800 |
6.4 4,904 |
9.5 7,107 |
실질가처분소득 증가율 |
11.1 |
10.0 |
10.4 |
2.7 |
8.0 |
-2.3 |
평균임금(루블) 임금상승률(명목) 임금상승률(실질) |
8,555 26.9 12.6 |
10,736 24.5 13.5 |
13,518 26.7 16.2 |
17,112 25.2 9.7 |
15,508 28.0 13.4 |
17,202 11.1 -2.3 |
주) ‘09년은 잠정치, 자료출처: 경제개발부, 통계청
ㅇ 경제개발부에 의하면 금년 1/4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년동기 대비 -9.5%로 잠정 집계되어, 글로벌 경제위기에 따른 경기침체가 예상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남.
- 이에 따라 경제개발부는 금년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현행 -2.2%에서 -6~ -7.4%로 하향조정할 계획임.
<연간 경제성장율 전망치>
(%)
러 경제개발부 ('09.2) |
IMF ('09.4) |
EIU ('09.3) |
World Bank ('09.3) |
OECD ('09.3) | |
'09 |
-2.2 |
-6.0 |
-3.0 |
-4.5 |
-5.6 |
'10 |
- |
0.5 |
2.0 |
0.0 |
0.7 |
ㅇ 1분기 주요지표를 살펴보면 세계경제 불황에 따른 국내외 수요 감소로 기업들의 생산․투자가 크게 감소하고, 실업증가와 가계의 가처분소득 감소에 따라 내수도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남.
- 전년동기 대비 산업생산이 14.3%, 고정자본투자가 15.0% 감소하였고, 건설물량과 수송량도 각각 19.3%, 17.6% 감소하였음.
- 실업율이 9..5%까지 상승하고, 실업자는 전년동기보다 45% 증가한 710만명에 달하고, 실질가처분소득도 전년동기 대비 2.3% 감소함에 따라, 최근 수년간 두자리수 증가율을 보여왔던 소매거래량도 ‘99.2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하였음.
※ 1/4분기 소매거래량은 전년동기 대비 1.1% 감소하였고, 식료품 거래량도 1.6% 감소하였음.
(단위: %)
구 분 (전년동기 대비)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8.1분기 |
‘08.4분기 |
‘09.1분기 |
건설물량 증가율 |
15.7 |
18.2 |
12.8 |
28.9 |
3.8 |
-19.3 |
수송량 증가율 |
2.2 |
2.2 |
0.7 |
4.2 |
-6.4 |
-17.6 |
자료출처: 통계청
ㅇ 전년동기 대비 산업생산량은 ‘08.11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, ’08.4분기에는 6.1%. 금년 1분기에는 14.3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.
-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‘08.4분기에 7.7%, 금년 1분기에 20.8% 감소하였음
․ 1분기에 전기․광학․ 운송장비․기타 비금속광물제품 생산이 30%, 목재가공․ 기계․금속․섬유․화학 생산이 20%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.
- 에너지분야 광업생산은 전년동기 대비 금년 1분기에 3.8%, 전기․가스․수자원 생산은 5.1% 감소하였음
- 경제개발부는 산업생산이 상반기까지 지속 감소한 후 하반기부터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나, OECD는 3/4분기까지 감소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.
구 분 (전년동기 대비, %) |
‘05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8.4분기 |
‘09.1분기 |
산업생산 성장률 |
4.0 |
3.9 |
6.3 |
2.1 |
-6.1 |
-14.3 |
광업 에너지 비에너지 |
1.3 1.8 -3.2 |
2.3 2.5 1.8 |
1.9 1.9 1.6 |
0.2 -0.2 1.5 |
-1.0 -1.2 -2.4 |
-3.8 -3.8 -7.8 |
제조업 음식료품 섬유 피혁․제화 목재가공 펄프․제지 석유제품 화학 고무․플라스틱 기타 비금속광물제품 금속 기계 전기․광학 운송장비 기타 |
5.7 4.4 -1.5 -2.7 4.5 1.2 5.4 2.6 5.5 3.5 5.7 -0.1 20.7 6.0 0.7 |
4.4 5.4 7.3 16.7 0.5 6.4 6.1 1.9 11.7 10.8 8.8 3.3 -5.5 3.3 7.2 |
9.5 6.1 -1.3 0.0 6.2 9.1 2.9 6.0 22.1 10.3 2.1 19.1 11.8 15.3 5.1 |
3.2 1.1 -4.5 1.7 1.4 0.8 2.7 -4.2 12.5 -0.9 -0.2 4.0 -7.9 9.5 4.6 |
-7.7 -6.3 -16.2 -7.1 -16.4 -11.1 1.2 -21.5 1.0 -13.6 -5.3 -12.0 -13.0 -8.7 -4.5 |
-20.8 -3.3 -21.2 -17.0 -29.2 -18.0 -3.7 -22.4 -17.3 -32.2 -27.7 -25.7 -43.4 -35.5 -20.7 |
전기․가스․수자원생산 |
1.2 |
4.2 |
-0.2 |
1.4 |
-5.4 |
-5.1 |
농업생산 성장률 |
2.0 |
2.8 |
3.3 |
10.8 |
15.6 |
2.1 |
자료출처: 통계청
2. 물 가
(단위: %)
구 분 (전년말 대비) |
‘05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8.1분기 |
‘09.1분기 |
소비자물가 식료품 비식료품 서비스 |
10.9 9.6 6.4 21.0 |
9.0 8.7 6.0 13.9 |
11.9 15.6 6.5 13.3 |
13.3 16.5 8.0 15.9 |
4.8 5.7 2.0 7.5 |
5.4 5.0 3.8 8.5 |
생산자물가 광업 제조업 전기․가스․수자원 |
13.4 31.0 8.1 12.6 |
10.4 1.6 13.3 10.3 |
25.1 52.3 17.9 13.3 |
-7.0 -38.4 1.9 18.0 |
3.0 -6.2 4.0 19.0 |
5.1 13.5 1.3 18.3 |
자료출처: 통계청
ㅇ 1분기에는 소비자물가가 5.4% 상승하여, 전년동기(4.8%)보다 1.0%p 높은 물가 상승율을 기록하였음.
- 월별 물가상승율은 1월 2.4%, 2월 1.7%, 3월 1.3%로 1분기 중 지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
* 물가상승율의 둔화에 따라 경제개발부, 중앙은행 등은 금년도 물가상승율 이 13%를 상회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
- 식료품물가는 전년동기보다 0.7%p 하락하였으나, 비식료품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기보다 90% 높은 것으로 나타남.
ㅇ 생산자물가는 1월 -1.8%, 2월 2.8%, 3월 4.1% 상승하여, 1분기에 5.1%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.
- 제조업 물가는 1.3% 상승에 그쳤으나, 광업(13.5%) 및 전기․가스․수자원 (18.3%) 물가는 크게 상승하였음.
3. 수출입 및 국제수지
(단위: 억 달러, %)
구 분 |
‘05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9.1~2월 |
무역수지 수출(국제수지기준) (증가율) 수입(국제수지기준) (증가율) |
1,182.7 2,435.7 (32.9) 1,253.0 (28.7) |
1,392.3 3,039.3 (24.7) 1,646.9 (31.3) |
1,321.2 3,544.0 (16.8) 2,234.9 (36.0) |
1,797.4 4,716.0 (33.1) 2,918.6 (30.6) |
129.5 367.1 (-47.7) 237.6 (-35.5) |
수출(통관기준) 수입(통관기준) |
2,412.4 985.8 |
3,014.4 1,378.1 |
3,519.3 1,997.5 |
4,679.1 2,670.8 |
360.5 207.3 |
주) ’09년은 잠정치, 자료출처: 통계청
ㅇ ‘09.1~2월 무역수지는 129.5억달러의 흑자를 달성했으나, 전년동기 대비 수출은47.7%, 수입은 35.5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.
- 수출 367.1억 달러, 수입 237.6억 달러를 기록하였음.
ㅇ 중앙은행 잠정집계에 의하면, 1분기에는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, 자본 및 금융수지 적자로 311억 달러가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남.
- 이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무역거래 규모의 급감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가 57% 감소한 것이 주요한 원인임.
※ 1분기 총 수출액 601억 달러 중 석유․석유제품․천연가스 수출액이 358억달 러로서 59.6%를 차지하였음.
- 무역수지는 217억달러 흑자를 기록한 반면, 각종 서비스거래를 나타내는 무역외 수지는 100억 달러 적자, 자본 및 금융수지는 299억 달러규모의 적자를 기록함.
<국제수지표>
(억 달러, ‘09년은 잠정치)
‘08.1분기 |
‘09.1분기 | |
경상수지 |
380 |
111 |
-무역수지 수출 ․ 석유 수출 ․ 석유제품 수출 ․ 천연가스 수출 수입 |
499 1,101 386 176 179 -602 |
217 601 178 88 92 -384 |
-무역외수지 |
-112 |
-100 |
-이전거래 |
-8 |
-6 |
자본 및 금융수지 (Capital and financial account) |
-257 |
-299 |
오차 및 누락 |
-58 |
-123 |
준비자산 증감 (- 증가, + 감소) |
-64 |
+311 |
출처 : 중앙은행
4. 외환 및 금융시장
(단위: 억 달러)
구 분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9.1 |
‘09.2 |
‘09.3 |
외환보유고(기말기준) (금 포함) (금 제외) |
3,037.3 2,955.7 |
4,763.9 4,643.8 |
4,270.8 4,125.4 |
3,868.9 3,714.5 |
3,840.7 3,681.4 |
3,838.9 3,681.4 |
자료출처: 중앙은행
ㅇ ‘08.9월부터 실시된 점진적인 루블화 평가절하를 위한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이 ’09.2월 종료됨에 따라, ‘09.2월말 이후 외환보유고는 3,840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, 3월말 보유액은 3,839억 달러로 집계됨.
<중앙은행 외환시장 개입 규모>
(억 달러, 억 유로)
달러 순매도액 |
유로화 순매도액 | |
‘08.8 |
0.3 |
-6.1 |
‘08.9 |
172.0 |
4.9 |
‘08.10 |
385.5 |
34.3 |
‘08.11 |
301.3 |
28.9 |
‘08.12 |
574.1 |
126.3 |
‘09.1 |
341.6 |
40.8 |
‘09.2 |
-8.6 |
-0.9 |
‘09.3 |
-35.8 |
-1.9 |
자료출처 : 중앙은행, (-) 순 매입액
ㅇ ‘08.4분기에 1,306억 달러에 달했던 민간자본 순유출 규모는 금년 1분기에는 388억달러로 급격히 감소하였음
(억 달러)
‘08.1분기 |
‘08.2분기 |
‘08.3분기 |
‘08.4분기 |
‘09.1분기 | |
민간 자본 순유출 |
236 |
-407 |
192 |
1,306 |
388 |
ㅇ ‘08.9월이후 점진적인 평가절하 유도에 따라 지속 하락한 루블화 평균명목환율은, 중앙은행의 시장개입이 종료됨에 따라, 3월에는 소폭 상승하였음.
- 달러대비 루블화 평균명목환율은 2월에 35.76 루블까지 하락하였으나 3월에는 3.2% 상승한 34.67 루블을 기록함.
(루블, %)
구 분 |
‘07 |
‘08 |
‘09.1 |
‘09.2 |
‘09.3 |
‘09.1분기 | |
명목환율1) |
루블/달러 |
24.57 |
28.13 |
31.47 |
35.76 |
34.67 |
33.92 |
루블/유로 |
35.80 |
37.94 |
42.36 |
45.70 |
45.28 |
44.42 | |
명목환율절상률2) |
달러대비 |
7.0 |
-12.7 |
-10.6 |
-12.0 |
3.2 |
-19.6 |
유로대비 |
-3.0 |
-5.6 |
-10.4 |
-7.3 |
0.9 |
-19.1 | |
실질환율절상률2) |
달러대비 |
15.0 |
-1.1 |
-8.9 |
-10.9 |
4.0 |
-15.5 |
유로대비 |
5.8 |
5.0 |
-8.1 |
-6.1 |
1.8 |
-15.0 | |
실질실효환율 절상률 |
5.1 |
4.3 |
-7.8 |
-5.6 |
3.3 |
-11.9 |
1) : 기간 평균환율
2) : 전기 대비
자료출처 : 중앙은행
ㅇ '09.3월의 은행간 신용금리는 전월대비 0.6%p 하락한 8.7%를 기록하면서, 전월 에 비해 금융경색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나타남
- ‘09.2월의 예금금리(요구불예금 제외, 1년 만기)는 10.0%, 대출금리는 16.6%를 기록
(단위 : 가중평균금리, %)
구 분 |
‘05 |
‘06 |
‘07 |
‘08 |
‘09.1 |
‘09.2 |
‘09.3 |
은행간 신용금리(O/N) |
2.7 |
3.4 |
4.4 |
5.5 |
16.3 |
9.3 |
8.7 |
중앙은행채권 금리 |
3.9 |
4.5 |
4.8 |
5.9 |
9.7 |
9.9 |
9.4 |
예금금리 (요구불예금 제외) |
4.0 (8.7) |
4.1 (7.8) |
5.1 (7.2) |
5.8 (7.6) |
7.4 (9.7) |
7.8 (10.0) |
n.a. n.a. |
대출금리 |
10.7 |
10.5 |
10.0 |
12.2 |
17.1 |
16.6 |
n.a. |
자료출처: 중앙은행
ㅇ 1분기중 통화(M2)공급량은 3월말 현재 전년말 대비 10.2% 감소한 상태이며,
전년말 대비 1월에 11.1% 감소한 후, 2~3월에 0.9% 증가하였음.
ㅇ ‘09.3월 중 주식시장은 RTS 지수가 ’09.2월말의 544.58 포인트 대비 26.64% 상승한 689.63 포인트를 기록함.
※ ‘08년 5.19일 RTS지수가 최고치(2,487.92)를 기록한 후, 9~10월간 549.43 포인트까지 하락한 후 , 1~2월간 약세장이 지속되었으나 3월말에는 전년말 주가를 상회하였음
구 분 (기말기준, '95.11.1=100) |
‘06 |
‘07 |
08 |
‘09.1 |
‘09.2 |
‘09.3 |
RTS 지수(종가기준) |
1,921.9 |
2,290.5 |
631.89 |
535.04 |
544.58 |
689.63 |
자료출처: RTS(증권거래소)
'러시아 이모저모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러시아민박(모스크바민박)해바라기민박 - 러시아소식(경제) (0) | 2009.10.30 |
---|---|
러시아민박(모스크바민박)해바라기민박 - 러시아소식 (0) | 2009.10.28 |
[스크랩] 마음의 향기와 인품의 향기 (0) | 2009.04.07 |
[스크랩] "러시아, 임시직 100만 개 창출" (0) | 2009.04.07 |
모스크바민박(러시아민박)해바라기민박-푸틴에게 등돌리는 러시아 군부 (0) | 2009.02.27 |